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은퇴 후 국민연금, 무사히 받을 수 있을까?

by 이슈 인사이더 2023. 11. 5.
반응형

법정 정년이 60세로 되어 있는 반면에 연금을 수령하는 시기는 점점 더 늦어지고 있어 많은 사람들이 불안해하는 것 같습니다.

은퇴 후 연금 수령을 하는 시기가 늦어지는 만큼 수입 없이 몇 년을 버텨야 하는 만큼 그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느라 고민이 많은 것 같습니다.

그렇기에 국민들 대다수가 법정 정년을 연금수령 시기에 맞춰 늦춰야 한다는 의견에 동참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.

 

노령연금 수급연령 상향 조정

출생연도 수급개시연령/년도
노령연금개시 수급개시연도 조기노령연금  
1952년생 이전 60세 2012년 55세 2007년
1953~56년생 61세 2014년~2017년 56세 2009년~2012년
1957~60년생 62세 2019년~2022년 57세 2014년~2017년
1961~64년생 63세 2024년~2027년 58세 2019년~2022년
1965~68년생 64세 2029년~2032년 59세 2024년~2027년
1969년생 이후 65세 2034년~ 60세 2029년~

 

 

지금 연금을 받는 세대와 앞으로 연금을 받아야 할 세대간에 이견도 많은 것 같습니다.

지금 연금을 받고 있는 세대는 적게 내고 많이 받는 반면에 앞으로의 세대들은 많이 내고 적게 받아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기 때문일 것입니다.

 

 

국민연금 고갈 시기

국민연금은 매 5년마다 재정 건강상태를 검진 받는데, 2018년에 실시한 4차 재정계산에서 나온 국민연금 고갈 시점은 2057년이라고 합니다.

하지만 국민연금연구원의 말에 따르면 2013년 계산때는 2060년이었는데 2018년에는 2057년으로 나왔기 때문에 실제 고갈시기는 더 앞당겨질 수도 있다고 합니다. 원인은 현재 출산율이 더 낮아졌기 때문에 그것이 반영된 이유라고 합니다.

 

 

국민연금 적립금 고갈되면 국민연금 못 받을까?

그러면 실제로 국민연금이 고갈되면 이후로는 국민연금을 받을 수 없게 될까요?

유희원 국민연금연구원 연금제도연구실장의 말에 따르면 국민연금이 고갈되어도 연금은 계속 받을 수 있다고 합니다.

현재 대부분의 국가들은 국민연금 적립금 없이 국민연금제도를 운영하고 있다고 합니다.

 

다만, 국민연금 적립금이 고갈되면 현재 우리 국민이 내는 연금 보험료율이 9%대인데 현재의 유럽국가들처럼 소득의 18~20%까지 연금보험료율이 올라갈 수 있다고 합니다.

그렇게 되면 아무래도 국민들의 부담이 커질 수 밖에 없을 것입니다.

그 부담을 져야 하는 세대가 미래세대이기 때문에 현재 국민연금을 수령하고 있는 세대와 이견이 생길 수밖에 없는 것 같습니다.

 

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현재 적게 내고 많이 받는 국민연금 구조를 개편해야 할 것입니다.

그러기 위해서는 국민연금과 관계된 많은 이해관계자들간에 타협이 필요할 것입니다.

 

물론, 그 타협이 어렵기때문에 정부와 국회, 그리고 많은 단체들이 폭탄 돌리고 있는 것 같습니다.

 

가장 좋은 방법은 나라가 부자가 돼서 국민들이 돈 걱정 없이 살 수 있으면 좋을 것 같습니다.

 

오른쪽, 왼쪽 편 가르고 싸우지 말고 나이 든 세대, 젊은 세대 편 가르지 말고,

정치하는 사람들은 자기들 밥 그릇 싸움만 하지 말고 국민들이 잘 살 수 있는 정치를 하고,

국민들은 자기 맡은 바 분야에서 열심히 일해서 부자나라를 만든다면 온 국민이 편하게 잘 사는 나라가 될 것입니다.

 

이런 나라가 된다면 애들 키우기 힘들다고 출산율이 떨어지지도 않을 것이고,

우리나라에서 살기 싫다고 외국으로 이민 가는 사람도 줄어들 것입니다.

 

그러면 자연히 인구도 많아지고 국력도 강해지고 더 좋은 나라가 되겠지요.

꿈같은 얘기지만 우리나라가 이런 나라가 되기를 바라봅니다.

 

국민연금공단 내연금 알아보기 바로가기

 

 

국민연금공단 내연금 알아보기

반응형